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✔️ 이 포스팅에 들어오신 분들은 국가건강검진에서는 무슨 항목을 검사하는지에 대해서 궁금하셔서 들어오셨을 것입니다.

     

     

    ✔️ 이번 포스팅에서는 국가건강검진 1) 일반 건강검진 2) 성·연령별 검사 3) 암 검진과 검진 전 주의사항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.

     

     

    🔽 무료 국가건강검진 대상자 확인 하기 🔽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썸네일 이미지

     

    국가건강검진 항목

    일반 건강검진

    ☑️ 일반 건강검진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.

     

    👉 기본진찰 (의사기본문진)

     

    👉 신체계측 (혈압, 키, 몸무게, BMI지수, 허리둘레, 시력, 기본청력)

     

    👉 흉부방사선 검사

     

    👉 혈액검사 (혈색소, 간수치, 신장수치, 공복혈당)

     

    👉 소변검사 (요단백)

     

    👉 구강검진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성·연령별 검사

    ☑️ 성·연령별 검사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.

     

     

    👉 이상지질혈증 4종 검사 (=콜레스테롤, 고지혈증 검사)

     

    ✅ 24세 이상 남성은 4년마다 검사 진행

     

    ✅ 40세 이상 여성은 4년마다 검사 진행 (그전에는 안 함)

     

     

    👉 b형 간염검사 (보균자, 면역자 제외)

     

    ✅ 40세에만 딱 1번 검사 진행

     

     

    👉 골다공증 검사 (골밀도 검사)

     

    ✅ 여성만 54세, 66세 때 총 2번 검사 진행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암 검진

    ☑️ 암 검진 6종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.

    ✔️위암 검진

    ☑️ 대상 : 40세 이상

     

     

    ☑️ 주기 : 2년 주기년주기

     

     

    ☑️ 검사방법 : 위내시경, 위조영술 2가지 방법 중 선택

     

     

    ☑️ 특이사항 : 조영술은 많이들 권하지 않는 방법이고 검사 특성상 조영제가 잘 안 묻거나 하면 병변이 잘 안 보이고 특이소견이 보이면 결국 또 내시경으로 확인을 해야 함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✔️간암 검진

    ☑️ 대상 : 40세 이상, 간암 고위험군

     

    👉 간암고위험군(간경변증, B형 간염 바이러스항 원 양성, C형 간염 바이러스 항체 양성, B형 또는 C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한 만성 간질환 환자)

     

     

    ☑️ 주기 : 6개월, 1~6 1, 7~12 1

     

     

    ☑️ 검사방법 : 간초음파, 혈액검사(혈청알파태아단백)

     

     

    ☑️ 특이사항 : 간암 산정특례 대상자는 5년간 검진 대상 유예 대상입니다. (5년 동안 검진대상으로 등록되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. 단, 본인이 원하면 등록 다시 등록 가능합니다.)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✔️폐암 검진

    ☑️ 대상 : 54 ~ 74세 흡연력이 30 갑년 이상인 현재 흡연 중인 자

     

    👉 30 갑년 = 하루 1갑 ×30년 1갑 ×30년, 하루하루 2갑 ×15년처럼 하루에 핀 답배 갑을 년수로 곱한 것.

     

     

    ☑️ 주기 : 2

     

     

    ☑️ 검사방법 : 흉부 CT

     

     

    ☑️ 특이사항 : 흡연력은 검진내원 전 사전 문진표 또는 건강보험 금연치료 사업 시 문진표작성등 본인이 작성하는 문진표로 확인한다. , 폐암 발생 고위험군으로 확인되어 국가폐암검진을 받았던 자는 검진 금연을 하더라도 금연 15 이내, 74세까지 폐암검진 대상자에 포함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✔️대장암 검진

    ☑️ 대상 : 60세 이상

     

     

    ☑️ 주기 1년 주기

     

     

    ☑️ 검사방법 : 분변잠혈반응검사 (대변검사가 1차로 매년대상) 후 이상반응 있을 시 대장내시경 또는 대장이중조영검사

    선택

     

    👉 많이들 대장내시경이 지원 나온다고 오해하는데 분변검사가 1차 고1차고 1 차고, 이상 있을 시 대장내시경 지원입니다. 대장내시경 지원 시 수면비는 별도.

     

    👉 조직검사와 용종절제비에서 조직검사비용까지는 지원용종절제비는 별도.

     

     

    ☑️ 특이사항 : 대장암 산정특례 대상자는 5년간 검진 대상 유예 대상입니다. (5년 동안 검진대상으로 등록되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. 단, 본인이 원하면 등록 다시 등록 가능합니다.)

     

     

    ✔️자궁경부암 검진

    ☑️ 대상 : 20세 이상세이상 여성

     

     

    ☑️ 주기 : 2

     

     

    ☑️ 검사방법 : 자궁경부세포진검

     

     

    ☑️ 특이사항 : 질경 검사로 성경험이 없으신 분이나, 자궁적출하신 분은 미리 이야기해 주셔야 합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✔️유방암

    ☑️ 대상 : 40세 이상세이상 여성

     

     

    ☑️ 주기 : 2

     

     

    ☑️ 검사방법 : 유방촬영

     

     

    ☑️ 특이사항 : 치밀 유방이라고 안 보여서 안 하고 유방초음파만 보려는 분들 많은데 유방촬영이 미세석회화가 잘 보여서 같이 보는 게 좋음. 미세석회화도 암 발전가능성 있음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국가건강검진 항목

    암검진 불이익

    ☑️ 국가암 검진을 안 받으면 나중에 암진단을 받았을 때 지원금이 안 나온다, 나라에서 불이익을 준다. 이런 이야기 많이 들어보셨을 텐데 이 말은 반은 맞고 반은 틀립니다

     

    .

    ☑️ 우선 국가암 검진을 해서 암진단을 받으면 암진단에 대한 지원비가 국가에서 나오는데 이건 소득분위에 따라 적용됩니다. 차상위, 기초소득계층을 위한 혜택으로 쉽게 생각해서 저소득층을 위한 지원이지 모든 검진대상자들에 대한 불이익은 아닙니다.

     

     

    ☑️ 소득분 위에 따라 저소득계층이 아닌 분들은 검진을 받으셔도 안 받으셔도 불이익도, 지원도 아무 차이 없을 것이고, 만약 저소득계층이신 분이라면 혹시를 대비해서 꾸준히 받으시는 게 좋겠습니다.

     

    국가건강검진 항목

    검진 전 주의 사항

    ☑️ 술은 3일 전, 식사는 12시간 전부터 금식

     

     

    ☑️ 김전 전날 저녁 9시 이후 금식

     

     

    ☑️ 검진 당일 물 포함 모든 음식 금식

     

     

    ☑️ 혈압약, 심장약은 검진 당일 새벽 6시 복용

     

     

    ☑️ 당뇨 환자는 검진 당일 인슐린, 당뇨약 복용 금지

     

     

    ☑️ 여성은 생리가 끝난 후 5일이 지나고 검진을 받아야 함.

     

     

    ☑️ 대장내시경 검진자는 3일 전부터 씨가 있는 과일을 먹으면 안 됨.

     

     

    마치며..

    이번 포스팅에서는 국가건강검진 1) 일반 건강검진 2) 성·연령별 검사 3) 암 검진과 검진 전 주의사항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. 국가에서 무료로 진행하는 건강검진이니 꼭 받으시길 바랍니다. 이상으로 포스팅 마치겠습니다.

    반응형